쌍용 렉스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쌍용 렉스턴은 쌍용자동차에서 생산하는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SUV)로, 2001년에 출시되어 현재까지 2세대에 걸쳐 판매되고 있다. 1세대는 2001년부터 2017년까지 생산되었으며, 이탈리아 디자이너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디자인을 담당했다. 2003년, 2006년, 2008년, 2012년 등 여러 차례의 페이스리프트와 모델 변경을 거쳤다. 2세대는 2017년에 출시되었으며, G4 렉스턴, 올 뉴 렉스턴, 렉스턴 뉴 아레나 등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다. 렉스턴은 군 지휘 차량으로도 활용되었으며, 렉스턴 스포츠와 렉스턴 스포츠 칸과 같은 파생 모델도 출시되었다.
쌍용 렉스턴은 쌍용자동차에서 2001년부터 생산하는 후륜구동 기반의 고급 SUV이다. 이탈리아의 유명 디자이너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디자인에 참여했으며, 메르세데스-벤츠의 엔진과 변속기를 사용하고 무쏘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2. 역사
1세대 렉스턴은 2001년 출시 이후 여러 차례 변화를 거쳤다. 초기에는 무쏘의 후속 모델로 개발되었으나 상위 차종으로 출시되어 무쏘와 함께 판매되었다. 2003년에는 뉴 렉스턴, 2006년에는 렉스턴 Ⅱ, 2008년에는 슈퍼 렉스턴, 2012년에는 렉스턴 W로 변경되었다. 2017년에는 후속 차종인 G4 렉스턴이 출시되면서 단종되었다.
2세대 렉스턴은 2017년에 G4 렉스턴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 2020년에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올 뉴 렉스턴이 출시되었고, 2023년에는 상품성 개선 모델인 렉스턴 뉴 아레나가 출시되었다.
2. 1. 1세대 (Y200, 2001년~2017년)
1세대 렉스턴(Y200, 2001년~2017년)은 무쏘의 후속 모델로 개발되었으나, 상위 차종으로 출시되어 무쏘와 함께 판매되었다. 이탈리아의 디자이너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디자인을 담당했으며, 출시 당시 대한민국 SUV 최초로 운전석 메모리 시트 등 고급 사양이 적용되었다.
2001년 8월에 판매가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2900cc 디젤 엔진(120마력)이 탑재되었다. 같은 해 11월에는 3200cc 가솔린 엔진(220마력) 탑재 차량이 추가되었다. 2003년 7월에는 신규 트림 "XJ290"이 추가되었다.
2003년 12월 18일에는 뉴 렉스턴이 출시되었다. 뉴 렉스턴은 라디에이터 그릴과 사이드 가니시에 변화를 주었고, 2.7L XDi 엔진과 메르세데스-벤츠제 5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또한, 대한민국산 SUV 최초로 차량 자세 제어 장치가 적용되었고, 실내 디자인도 변경되었다.
2005년에는 엔진 출력이 176마력으로 향상되었고, 2006년 3월에는 렉스턴 Ⅱ, 2008년 7월에는 슈퍼 렉스턴으로 변경되었다. 2012년 5월에는 렉스턴 W가 출시되었으며, "W"는 "Work of Art"를 의미한다. 렉스턴 W에는 신개발 2.0L 커먼레일 디젤 엔진이 탑재되었다.
2017년 5월 후속 차종인 G4 렉스턴이 출시되면서 단종되었다.
4WD 시스템은 토크 온 디맨드 방식을 채용하였다.
2012년 12월 21일, 조세일보 보도에 따르면, 한국군은 쌍용자동차의 2012년형 렉스턴 W와 코란도 스포츠를 지휘 순찰 및 작전 수행에 사용하는 야전 지휘차로 채용하기로 결정했다.[3]
; 제원
구분 | RX5 TI | RX5 EDI | RX6 IL |
---|---|---|---|
전장 (mm) | 4795mm | ||
전폭 (mm) | 1870mm | ||
전고 (mm) | 1760mm 1865mm(루프랙 적용시) | ||
축거 (mm) | 2820mm | ||
윤거 (전, mm) | 1550mm | ||
윤거 (후, mm) | 1540mm | ||
승차 정원 | 7명 | ||
변속기 | 수동 5단 자동 4단 | 수동 5단 자동 5단 | 자동 5단 |
구동 형식 | 후륜 구동 4륜 구동 | 4륜 구동 | |
엔진 형식 | 290 TD, 662925 | 2.7L XDi , 665925 | 3.2 XGi , 162994 |
연료 | 디젤 | 가솔린 | |
배기량 (cc) | 2,874 | 2,696 | 3,199 |
최고 출력 (ps/rpm) | 120/4,000 | 170/4,000 (이후 176/4,000으로 변경) | 220/5,750 |
최대 토크 (kg*m/rpm) | 25.5/2,400 | 34.7/1,800~3,200 (이후 35.7/2,000~3,000으로 변경) | 31.6/3,750 |
연료 탱크 용량 (L) | 80 | ||
요소수 탱크 용량 (L) | - | ||
공차 중량 (kg) | 1875kg(후륜 구동 수동 5단)/ 1915kg(후륜 구동 자동 4단)/ 1975kg(4륜 구동 수동 5단)/ 2015kg(4륜 구동 자동 4단) | 2095kg(4륜 구동 수동 5단)/ 2120kg(4륜 구동 자동 5단) | 2090kg(4륜 구동 자동 5단) |
연비 (km/L) | 10.5(후륜 구동 수동 5단)/ 9.1(후륜 구동 자동 4단)/ 10.4(4륜 구동 수동 5단)/ 9.0(4륜 구동 자동 4단) | 11.8(4륜 구동 수동 5단)/ 10.4(4륜 구동 자동 5단) | 5.7(4륜 구동 자동 5단) |
2. 1. 1. 렉스턴 (2001년~2003년)


1998년부터 Y200이라는 프로젝트명으로 개발되어 2001년 9월에 출시되었다. 쌍용자동차가 대우자동차에 인수된 당시에 개발되었기 때문에 대우자동차의 예전 패밀리 룩이었던 3분할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되었다. 이탈리아의 디자이너 조르제토 쥬지아로가 디자인을 담당하였으며, 출시된 해에 우수 산업 디자인 운송 기기류 부문에서 산업자원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5] 실내는 메탈 소재와 우드 그레인이 조화를 이룬 베이지 컬러가 적용되었고, 운전석에는 대한민국산 SUV 최초로 3명의 체형을 기억할 수 있는 메모리 기능이 적용되어 고급화를 꾀하였다. 같은 해 11월에는 RX320과 RE290이 추가되었고, 2003년 7월 11일에는 4륜구동 방식의 사용 빈도가 낮은 고객을 위한 후륜구동 사양인 XJ290이 추가되었다.[6] 한때는 대우인터내셔널의 영업망을 이용하여 유럽 일부 지역에 반조립 형식을 통하여 대우 브랜드로도 판매되었다.
; 제원
구분 | XJ290 | RE290 | RJ290/RX290 | RX320 |
---|---|---|---|---|
전장 (mm) | 4,730 4,795(범퍼 가드 적용시) | 4,795 | ||
전폭 (mm) | 1,870 | |||
전고 (mm) | 1,760 | 1,760 1,865(루프랙 적용시) | 1,865 | |
축거 (mm) | 2,820 | |||
윤거 (전, mm) | 1,550 | |||
윤거 (후, mm) | 1,540 | |||
승차 정원 | 7명 | |||
변속기 | 수동 5단 자동 4단 | 자동 4단 | ||
구동 형식 | 후륜 구동 | 4륜 구동 | ||
엔진 형식 | 290 TD , 662925 | 662925 (이후 662935로 변경) | 3.2 XGi ,162994 | |
연료 | 디젤 | 가솔린 | ||
배기량 (cc) | 2,874 | 3,199 | ||
최고 출력 (ps/rpm) | 120/4,000 | 120/4,000 (이후 132/4,000으로 변경) | 220/5,750 | |
최대 토크 (kg*m/rpm) | 25.5/2,400 | 25.5/2,400 (이후 29.5/2,400으로 변경) | 31.6/3,750 | |
연료 탱크 용량 (L) | 80 | |||
요소수 탱크 용량 (L) | - | |||
공차 중량 (kg) | 1,875(후륜 구동 수동 5단)/ 1,915(후륜 구동 자동 4단) | 1,925(4륜 구동 수동 5단)/ 2,050(4륜 구동 자동 4단) (이후 1,975(4륜 구동 수동 5단)/ 2,015(4륜 구동 자동 4단)/ 2,035(4륜 구동 수동 5단)/ 2,065(4륜 구동 자동 4단)으로 변경) | 2,060(4륜 구동 자동 4단) (이후 2,040(4륜 구동 자동 4단)으로 변경) | |
연비 (km/L) | 10.5(후륜 구동 수동 5단)/ 9.1(후륜 구동 자동 4단) | 11.8(4륜 구동 수동 5단)/ 10.9(4륜 구동 자동 4단) (이후 10.4(4륜 구동 수동 5단)/ 9.0(4륜 구동 자동 4단)으로 변경) | 6.9(4륜 구동 자동 4단) (이후 6.3(4륜 구동 자동 4단)으로 변경) | |
2. 1. 2. 뉴 렉스턴 (2003년~2006년)


2003년 12월 18일에 출시된 뉴 렉스턴은 기존 렉스턴의 라디에이터 그릴에 세로줄이 추가되고, 사이드 가니시에 크롬 몰딩이 추가되는 등 소폭 변화했다. 자사 최초의 3세대 커먼 레일 디젤 엔진인 2.7L XDi 엔진은 당시 동급 최대 성능을 냈고, 메르세데스-벤츠제 5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대한민국산 SUV 최초로 차량 자세 제어 장치(ESP)가 적용되어 안정성을 향상시켰으며, 실내는 베이지색에서 검은색으로 바뀌었고 우드그레인 형상도 변경되었다. 이 외에 LED 계기판, 은색 루프랙, 운전석 메모리 시트 등 고급 편의 사양이 적용되었다.[7]
2005년에는 2.7L XDi 디젤 엔진을 커먼레일 방식으로 바꾸어 출력을 176마력으로 높였다. 2005년 6월 카이런과 렉스턴은 서로 관계가 있었다.
; 제원
구분 | RX5 TI | RX5 EDI | RX6 IL |
---|---|---|---|
전장 (mm) | 4795mm | ||
전폭 (mm) | 1870mm | ||
전고 (mm) | 1760mm (루프랙 적용 시 1865mm) | ||
축거 (mm) | 2820mm | ||
윤거 (전, mm) | 1550mm | ||
윤거 (후, mm) | 1540mm | ||
승차 정원 | 7명 | ||
변속기 | 수동 5단 자동 4단 | 수동 5단 자동 5단 | 자동 5단 |
구동 형식 | 후륜 구동 4륜 구동 | 4륜 구동 | |
엔진 형식 | 290 TD, 662925 | 2.7L XDi, 665925 | 3.2 XGi, 162994 |
연료 | 디젤 | 가솔린 | |
배기량 (cc) | 2,874 | 2,696 | 3,199 |
최고 출력 (ps/rpm) | 120/4,000 | 170/4,000 (이후 176/4,000으로 변경) | 220/5,750 |
최대 토크 (kg*m/rpm) | 25.5/2,400 | 34.7/1,800~3,200 (이후 35.7/2,000~3,000으로 변경) | 31.6/3,750 |
연료 탱크 용량 (L) | 80L | ||
요소수 탱크 용량 (L) | - | ||
공차 중량 (kg) | 1875kg(후륜 구동 수동 5단)/ 1915kg(후륜 구동 자동 4단)/ 1975kg(4륜 구동 수동 5단)/ 2015kg(4륜 구동 자동 4단) | 2095kg(4륜 구동 수동 5단)/ 2120kg(4륜 구동 자동 5단) | 2090kg(4륜 구동 자동 5단) |
연비 (km/L) | 10.5(후륜 구동 수동 5단)/ 9.1(후륜 구동 자동 4단)/ 10.4(4륜 구동 수동 5단)/ 9.0(4륜 구동 자동 4단) | 11.8(4륜 구동 수동 5단)/ 10.4(4륜 구동 자동 5단) | 5.7(4륜 구동 자동 5단) |
2. 1. 3. 렉스턴 Ⅱ (2006년~2008년)
2006년 3월에 렉스턴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렉스턴 Ⅱ가 출시되었다.[7] 렉스턴 Ⅱ는 2.7L XDi 엔진의 출력을 176마력으로 향상시켰다. 또한, 내리막 저속 주행 장치(HDC)와 전자동 주차 브레이크(EPB) 등 다양한 편의 사양이 추가되었다.; 렉스턴 Ⅱ 트림
- RX5
- RX6
- RX7
- 노블레스
2. 1. 4. 슈퍼 렉스턴 (2008년~2012년)
2008년 7월에 슈퍼 렉스턴으로 차명이 변경되었다. 2010년에는 2.0L 디젤 엔진을 장착한 RX4 모델이 추가되었다.[7]2. 1. 5. 렉스턴 W (2012년~2017년)
2012년 6월에 렉스턴 W가 출시되었다. 렉스턴 W는 렉스턴의 두 번째 페이스리프트 모델이다. "W"는 "Work of Art"의 머리글자를 따온 것으로, "새롭게 탄생한 뉴 프리미엄 SUV"를 의미한다.[7] 렉스턴 W에는 신개발 2.0L 커먼레일 디젤 엔진 "e-XDi200 LET(Low End Torque)"와 5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었다.[7] 2017년 5월에 후속 차종인 "G4 렉스턴"이 출시되면서, 렉스턴 W는 재고 차량 판매를 끝으로 단종되었다.2. 2. 2세대 (Y400, 2017년~현재)
2017년 5월, 쌍용자동차는 G4 렉스턴을 출시했다. 이 모델은 4세대(4th Generation)와 '위대한 4가지 혁명(Great 4 Revolution)'을 의미하는 G4를 서브 네임으로 사용했다."Y400" 코드명으로 개발된 G4 렉스턴은 2017년 서울 모터쇼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같은 해 상반기에 발표 및 출시될 예정이었다.[1] G4는 주행 성능, 안전성, 스타일, 하이테크의 4대 혁명을 의미하며, 렉스턴 브랜드의 프리미엄 가치를 계승 및 발전시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해외 시장에는 이전 모델처럼 "렉스턴"으로 수출되며, 6단 수동 변속기도 선택 가능하다. 인도 시장에서는 모회사인 마힌드라 & 마힌드라가 "알투라스 G4"라는 이름으로 2018년 11월부터 판매를 시작했다.[2]
2020년 11월 4일, 4세대 렉스턴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올 뉴 렉스턴'이 출시되었다. 임영웅이 광고 모델로 발탁되어 그의 신곡 'HERO'가 광고에 사용되었다. 엔진 출력은 202마력으로 향상되었고, 현대트랜시스의 국산 전자식 8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수납 공간이 개선되고 전자식 R-EPS가 적용되어 반자율 주행 장치가 탑재되었다. 최고급 트림 '더 블랙'은 한동안 스페이스 블랙 색상만 선택 가능했으나, 2021년 3월부터 화이트 색상이 추가되었다. 플레어가 두꺼운 형태로, 측면에 크롬 라인이 추가되었다.
2023년 5월에는 올 뉴 렉스턴의 상품성 개선 모델인 '렉스턴 뉴 아레나'가 출시되었다.
2. 2. 1. G4 렉스턴 (2017년~2020년)
2017년 서울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 5월부터 판매에 들어갔다.[1] G4 렉스턴은 대한민국 SUV 최초로 20인치 알루미늄 휠을 적용하였다. 차명 "G4"는 주행 성능(Driving Revolution), 안전성(Safety Revolution), 스타일(Style Revolution), 하이테크(High-tech Revolution)의 4대 혁명('''G'''reat '''4''' Revolution)을 의미하며, 렉스턴 브랜드가 축적해온 프리미엄을 계승 및 승화시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2]2018년에는 유로 6d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요소수를 넣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제원
구분 | 2.2L e-XDI 2WD | 2.2L e-XDI 4WD |
---|---|---|
전장 (mm) | 4850mm | |
전폭 (mm) | 1960mm | |
전고 (mm) | 1825mm | |
축거 (mm) | 2865mm | |
윤거 (전, mm) | 1620mm | |
윤거 (후, mm) | 1620mm | |
승차 정원 | 5명 7명 | |
변속기 | 자동 8단 | |
구동 형식 | 후륜 구동 | 4륜 구동 |
서스펜션(전/후) | 더블 위시본/멀티 링크 | |
엔진 형식 | e-XDi220 LET (Low End Torque, 저속 토크형 엔진) 672960 | |
연료 | 디젤 | |
배기량 (cc) | 2,157 | |
최고 출력 (ps/rpm) | 202/ | |
최대 토크 (kg*m/rpm) | colspan="2"| | |
연료 탱크 용량 (L) | 70L | |
요소수 탱크 용량 (L) | 20L | |
공차 중량 (kg) | ||
연비 (km/L) | ||
Co2 배출량 (g/km) |
2. 2. 2. 올 뉴 렉스턴 (Y450, 2020년~2023년)
2020년 11월 4일, 4세대 렉스턴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올 뉴 렉스턴이 출시되었다. 이와 함께 가수 임영웅이 광고 모델로 발탁되어 그의 신곡 "HERO"가 광고에 사용되었다.[1] 엔진 출력은 202마력으로 향상되었고, 현대트랜시스의 8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또한, 수납 공간이 개선되고 전자식 R-EPS가 적용되어 반자율 주행 장치가 탑재되었다.[2] 최고급 트림인 '더 블랙'은 한동안 스페이스 블랙 색상만 선택 가능했으나, 2021년 3월부터 화이트 색상이 추가되었다. 외관은 플레어가 두꺼운 형태로 측면에 크롬 라인이 추가되었다.트림명 |
---|
럭셔리 |
프레스티지 |
시그니처 |
더 블랙 |
2. 2. 3. 렉스턴 뉴 아레나 (Y461, 2023년~현재)
2023년 5월에 올 뉴 렉스턴의 상품성 개선 모델인 렉스턴 뉴 아레나가 출시되었다.3. 특징
렉스턴은 프레임 바디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뛰어난 오프로드 성능을 자랑한다. 1세대부터 고급 SUV를 지향하며, 다양한 편의 및 안전 사양을 적용해왔다. 특히, 대한민국산 SUV 최초로 차량 자세 제어 장치가 적용되어 안정성을 높였다.[7] 2세대 G4 렉스턴부터는 초고장력 강판 사용 비율을 높여 차체 강성을 강화했다.
뉴 렉스턴은 라디에이터 그릴에 세로줄이 추가되고, 사이드 가니시에 크롬 몰딩이 추가되는 등 디자인에 변화를 주었다. 또한, LED 계기판, 실버 컬러 루프랙, 운전석 메모리 시트 등 고급 편의 사양이 적용되었다.
2005년에는 2.7L XDI 디젤 엔진을 커먼레일 방식으로 바꾸어 출력을 176마력으로 향상시켰다.[7]
4세대 렉스턴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올 뉴 렉스턴은 엔진 출력이 202마력으로 향상되었고, 현대트랜시스의 국내산 전자식 8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또한, 수납 공간이 개선되었고, 전자식 R-EPS가 적용되어 반자율주행 장치가 탑재되었다.
구분 | RX5 TI | RX5 EDI | RX6 IL |
---|---|---|---|
전장(mm) | 4,795 | ||
전폭(mm) | 1,870 | ||
전고(mm) | 1,760 1,865(루프랙 적용시) | ||
축거(mm) | 2,820 | ||
윤거(전, mm) | 1,550 | ||
윤거(후, mm) | 1,540 | ||
승차 정원 | 7명 | ||
변속기 | 수동 5단 자동 4단 | 수동 5단 자동 5단 | 자동 5단 |
구동 형식 | 후륜 구동 4륜 구동 | 4륜 구동 | |
엔진 형식 | 290 TD, 662925 | 2.7L XDi, 665925 | 3.2 XGi, 162994 |
연료 | 디젤 | 가솔린 | |
배기량(cc) | 2,874 | 2,696 | 3,199 |
최고 출력(ps/rpm) | 120/4,000 | 170/4,000 (이후 176/4,000으로 변경) | 220/5,750 |
최대 토크(kg*m/rpm) | 25.5/2,400 | 34.7/1,800~3,200 (이후 35.7/2,000~3,000으로 변경) | 31.6/3,750 |
연료 탱크 용량(L) | 80 | ||
요소수 탱크 용량(L) | - | ||
공차 중량(kg) | 1,875(후륜 구동 수동 5단)/ 1,915(후륜 구동 자동 4단)/ 1,975(4륜 구동 수동 5단)/ 2,015(4륜 구동 자동 4단) | 2,095(4륜 구동 수동 5단)/ 2,120(4륜 구동 자동 5단) | 2,090(4륜 구동 자동 5단) |
연비(km/L) | 10.5(후륜 구동 수동 5단)/ 9.1(후륜 구동 자동 4단)/ 10.4(4륜 구동 수동 5단)/ 9.0(4륜 구동 자동 4단) | 11.8(4륜 구동 수동 5단)/ 10.4(4륜 구동 자동 5단) | 5.7(4륜 구동 자동 5단) |
4. 파생 모델
2018년 1월 9일, 2세대 렉스턴(G4 렉스턴)을 기반으로 한 픽업트럭 모델인 '''렉스턴 스포츠'''가 대한민국에 출시되었다. 렉스턴 스포츠는 G4 렉스턴의 메커니즘 대부분을 활용하면서도, 후면부는 렉스턴 스포츠만의 독자적인 설계를 적용했다. 렉스턴 스포츠의 등장으로 코란도 스포츠는 단종되었다.[1] 유럽 시장에서는 렉스턴 스포츠 대신 무쏘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2019년 1월 3일에는 렉스턴 스포츠의 적재함과 휠베이스를 늘린 '''렉스턴 스포츠 칸(KHAN)'''이 대한민국에 출시되었다. 렉스턴 스포츠 칸은 렉스턴 스포츠보다 휠베이스가 110mm 더 길어 3,210mm에 달했고, 적재함 부분도 310mm 늘어나 전체 길이가 5,405mm가 되었다. 또한 렉스턴 스포츠 칸은 전용 프론트 그릴과 리어 엠블럼을 장착하여 렉스턴 스포츠와 차별화를 꾀했다. 해외 시장에서는 렉스턴 스포츠 칸 대신 "무쏘 그랜드(MUSSO GRAND)"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2021년 4월에는 렉스턴 스포츠와 렉스턴 스포츠 칸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대한민국에 출시되었다. 두 모델 모두 대형 가로형 크롬 그릴을 적용하였으며, 특히 렉스턴 스포츠 칸은 상단에 "K H A N" 문자를 새긴 전용 디자인을 적용하여 차별성을 강조했다.
5. 제원
(mm)
(mm)
(mm)
1,865(루프랙 적용시)
(mm)
(전, mm)
(후, mm)
자동 4단
자동 5단
4륜 구동
(cc)
(ps/rpm)
(이후 176/4,000으로 변경)
(kg*m/rpm)
(이후 35.7/2,000~3,000으로 변경)
(L)
(L)
(kg)
1,915(후륜 구동 자동 4단)/
1,975(4륜 구동 수동 5단)/
2,015(4륜 구동 자동 4단)
2,120(4륜 구동 자동 5단)
(km/L)
9.1(후륜 구동 자동 4단)/
10.4(4륜 구동 수동 5단)/
9.0(4륜 구동 자동 4단)
10.4(4륜 구동 자동 5단)